[사스 코로나 2003년] SARS, 코로나 감염 주의
"코로나, 메르스 합치면 뭐죠?"
요즘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 2015년 메르스 등을 엮어서
신종 유행어로 '메로나'라는 말까지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물론 심각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풍자적인 의미로 이런 어휘를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16년~17년 전에 전세계를 공포로 떨게 했던 사스를 기억하실 겁니다.
사스는 영어로 SARS(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입니다.
2003 괴질 (怪疾)이라는 명칭도 가지고 있습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이라고 불리죠.
2020년 설날 명절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 으로부터 시작된 일종의 '괴질'
2003년의 사스를 떠올리게 하는 것은 공통점이 많기 때문입니다.
왜 코로나 바이러스를 괴질이라고 부를 수 있냐면은
괴질을 보통 일컬을 때, 질병의 원인이나 원인균이 무엇인지 모를 때를 말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비말 감염'으로 강력히 추정되고 있지만, 실제로 전파되는 양식을 모르는 상태이며,
급속히 확산되는 치명적인 전염병이라는 점에서 코로나는 '괴질'입니다.
2003 괴질 = 사스
2020 괴질 = 코로나 바이러스
2003년 2월말 홍콩의 프린스 어브 웨일즈병원이기 때문에,
사스 진원지는 2002년 11월 중국광동성으로 보입니다.
그때도 중국이었군요.
중국에서 시작된 괴질이
국제도시로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인 홍콩의 공항이 확산이 되어서
여러나라로 급속히 확산된 것이 사스의 심각한 상황을 초래했습니다.
사스의 원인균은 초창기에는 알려지지 않았었는데,
인수공통감염바이러스, 클라미디아 감염, 변형독감바이러스 등이 지목되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사스의 원인 바이러스는
2020년과 마찬가지로 코로나 바이러스 로 나타났습니다.
원인균은 일반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인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종이었다고 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바이러스를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의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환자와의 직접접촉은 물론, 물이나 음식 같은 소화기감염과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한 호흡기감염등 모든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2-3시간 동안 일반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된 물체가 다른 사람에게 감염되는 매개물이 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괴질 의심환자는 다음과 같은데요.
첫째, 체온 38도 이상의 발열
둘째, 호흡기증상(기침,빈호흡, 호흡곤란, 저산소증)
셋째, 증상발생 10일 이내에 감염지역을 방문한 중국 등 여행 경력이 있는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하는 방법을 아래처럼 정리합니다.
첫째, 개인위생 철저입니다.
마스크를 착용 권고--예방효과는 미지수
문의 손잡이, 세면도구등의 소독, 공공장소 이용 삼가
외출한 뒤에 반드시 손을 씻고 양치질을 하는 등 청결한 생활습관을 유지
예방을 위해 화장실 환경을 청결히 하고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
둘째, 위험국가 여행을 피하는 것입니다.
부득이하게 출장 등 여행한 경우 증상초기에 보건소 및 방역당국에 신고
공항 및 항구 검역 강화
셋째, 병의원 종사자 및 가족 2차감염 주의
질병과 가장 먼저, 가장 오래 만나게 되는 장소는 병의원이며, 병원종사자 이다.
넷째, 감염 지역 주변의 사람들 집단적으로 격리를 해야 합니다.
항공여행의 보편화, 21세기 특징인 SNS 등을 통한 소통 때문에 비밀리에 이를 진행한다는 것이
인권과 굉장히 맞닿아 있습니다.
즉, 인간의 기본권과, 시민자유권 침해로 인해 여러 부작용이 있습니다.
아산 지역 시민들이 선거를 앞두고 봉이냐는 반문이 떠오르는 저녁입니다.
[사스 코로나 2003년] SARS, 코로나 감염 주의
워드프레스 임베디드 무엇일까? (0) | 2020.11.18 |
---|---|
[책과 책은 연결되어 있다] 책A, 책B는 서로 연결됨 (0) | 2020.11.17 |
[코로나맵 확진자 동선] 대학생 코로나 바이러스 현황 지도 '코로나맵' 사이트 개발 (1) | 2020.02.01 |